mobile background
정규| 대학유학

라임있게 , LIME EDUCATION
LIME EDUCATION
대학 진학, 
라임 선별 프로그램 HOT 12

대학 유학 프로그램 | 미국 캐나다 영국
LIME EDUCATION
대학 유학 정보 | Lime Education

대학유학요즘 문과생들에게 가장 인기 많은 커뮤니케이션 전공 알아보기

라임관리자
2025-05-13
조회수 86



“말을 잘하면 커뮤니케이션 전공이랑 잘 맞지 않을까?”

자주 들리는 말이지만, 이 질문에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오해가 담겨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은 말의 유창함보다, 정보를 설계하고 

맥락을 통제하며 메시지의 전략을 설계하는 힘에 가깝습니다.

세계를 움직이는 건 결국 ‘말’이 아니라 ‘메시지’입니다.

그리고 그 메시지를 어떻게 설계하고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학문, 

그 중심에 커뮤니케이션 전공이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단순한 스피치 기술을 넘어, 

전략적 소통을 다루는 커뮤니케이션 전공의 진짜 의미와 

그 확장성에 대해 깊이 들여다보려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전공, 정확히 뭘 배우는 걸까?


커뮤니케이션 전공은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은 분야들을 다룹니다.

  • 대인 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Communication)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을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나 가족, 연인 간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 조직 커뮤니케이션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기업이나 조직 내에서 어떻게 소통이 이루어지는지를 다룹니다. 

기업 내 사내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Media Studies)


뉴스, 광고, SNS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고 해석되는지를 연구합니다. 

요즘 이슈인 ‘가짜 뉴스’도 이 분야의 주요 관심사입니다.

  • 설득과 PR, 광고


대중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 

브랜드 이미지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등 실무적인 영역과 연결됩니다.

대응 전략을 분석하면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그 전략적 접근 방식을 배웁니다.


미국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학부에서는 

‘Crisis Communication’ 또는 ‘Strategic Corporate Communication’과 

같은 과목을 통해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설계하고 관리해야 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이 과정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실제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스타벅스의 2018년 인종차별 논란 사건입니다. 

당시 미국 필라델피아의 한 매장에서 흑인 고객 두 명이 아무런 이유 없이 경찰에 의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 장면이 SNS를 통해 퍼지면서 전 세계적인 비난 여론이 형성되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수업에서는 이 사건을 단순한 기업 실수로 보지 않고,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실패, 공중(publics)과의 관계 재설정 실패, 

미디어 프레이밍에 대한 미흡한 대응으로 분석합니다.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사고합니다


사건 직후 스타벅스가 발표한 사과문은 왜 일부 소비자에게는 진정성 없게 느껴졌는가?

CEO가 직접 매장에 방문해 피해자들과 대면한 행동은 어떤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가져왔는가?

“전국 매장 임시 휴업 및 직원 대상 인종 편견 교육”이라는 전략은 

실효성 있는 대응이었는가, 혹은 이미지 회복을 위한 상징적 제스처였는가?


또한 이 수업에서는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모델, 

예컨대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SCCT)나 

Image Restoration Theory 등을 적용해, 스타벅스의 대응을 

이론적으로 평가하는 훈련도 병행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히 위기에 대응하는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명성과 신뢰 회복을 위한 메시지 구성 원리와 윤리적 판단 기준까지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 전공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위기 상황을 

케이스 스터디와 이론적 모델을 통합해 분석하며, 실제 사회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지를 훈련하는 학문입니다.


실무와 연결되는 전공, 커뮤니케이션의 강점은 무엇일까?

커뮤니케이션 전공이 갖는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실무와의 연결성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다음과 같은 분야로 진출하곤 합니다.

  • 홍보(PR) 및 광고 대행사
  • 디지털 마케팅 및 콘텐츠 기획
  • 방송 및 언론
  • HR 및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담당
  • 정책 홍보 및 정치 커뮤니케이션

예를 들어, 미국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한 한 졸업생은 

디지털 PR 회사에 입사해 브랜드 위기 대응 전략 수립과 

소셜 미디어 여론 분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단순히 말하는 능력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설득 전략을 짜는 역량이 핵심이 된 거죠.


커뮤니케이션 전공은 이런 학생에게 잘 맞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말을 잘하는 사람’을 위한 학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 전공은 사람, 메시지, 상황, 사회 구조의 복합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관심이 있는 학생에게 더욱 적합합니다. 

다음과 같은 성향과 관심을 가진 학생이라면 커뮤니케이션 전공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사람의 생각과 감정, 사회적 행동에 관심이 많은 학생

사람들이 왜 특정한 방식으로 말하고, 듣고, 반응하는지를 탐구하는 데 흥미를 느끼는 학생. 

이들은 종종 심리학, 사회학, 행동경제학에 관심이 있으며, 

대화 속의 숨은 의미나 상징, 감정 구조에 주목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전공은 인간 이해의 정교한 렌즈를 제공합니다.


✔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기획하고 싶은 학생

글쓰기나 말하기를 넘어서, 타인의 인식과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메시지를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까에 관심이 있는 학생에게 이상적입니다. 

이는 마케팅, PR, 정치 캠페인, 사회 운동 등 전략 커뮤니케이션 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미디어, SNS, 디지털 플랫폼의 구조와 영향력에 관심 있는 학생

단순히 SNS를 즐기기보다는, 왜 특정 콘텐츠가 확산되는지, 

플랫폼 알고리즘이 여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궁금해하는 학생. 

커뮤니케이션 전공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통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콘텐츠의 사회적 파급력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사회 갈등의 조정 메커니즘에 흥미 있는 학생

기업, 정부, 학교 등 다양한 조직 속에서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것이 협력 혹은 갈등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고민하는 학생. 

조직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위기 커뮤니케이션 등은 복잡한 인간 관계를 풀어내고,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결국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말과 글을 넘어서, 인간과 사회, 기술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설계의 학문입니다. 

변화가 일상인 시대, 세상을 이해하고 움직이는 힘은 정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전달하며, 어떤 흐름으로 설계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전공의 진정한 목표는,

혼란 속에서도 의미를 구성하고,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을 전략적으로 이끄는 메시지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는 데 있습니다.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흐름을 설계하고 움직이는 사람.”

커뮤니케이션 전공이 지향하는 인재상은 

바로 그런 전략적 사고자이자, 사회적 설계자입니다.


LIME EDUCATION

©Copyright: mylimeedu.com

LIME EDUCATION

본사 |

 

🏢 서울 강남 센터
📞 02-2135-7699

서울시 서초구 사임당로 174 

강남미래타워 602호

🏢 분당 센터
📞 1688-9806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343번길 10-6  3층

 



국내 직영 센터 📞 대표 번호 1688 - 9806


🏢 인천 송도 센터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5 포스코타워 26층  


🏢 대전 센터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36 대전무역회관 18층  

🏢 대구 센터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385-1 3층

🏢 부산 서면센터

부산광역시 진구 동천로 109 삼한골든게이트 빌딩 9층

 

🏢 전남 센터

전라남도 순천시 삼산로 15-1, 3층




해외 직영 센터 📞 대표 번호 +1-647-427-2006 


🏢 캐나다 토론토 센터

Regional HQ 55 Eglinton Ave East, Suite 601,

Toronto ON, M4P 1G8 Canada


🏢 캐나다 옥빌 센터 | 미국 명문대 입시/조기유학
동부 탑보딩 전문 관리 센터

1054 John Laird Circle, 

Oakville ON L6H 3R5 Canada





해외협력지사


🏢 캐나다 밴쿠버 센터

789 W Pender St, Suite 1100,

Vancouver, BC V6C 1H2 Canada


🏢 영국 런던 센터

1 Partridge Mews, Chertsey,

Surrey KT16 9GB


🏢 뉴질랜드 오클랜드 센터

18 Cayman place, Unsworth Heights,

Auckland 0632 New Zealand